실패를 극복하는 방법, 싸움닭이론과 건설적 실패내성의 비교

김형석, “실패 하더라도 앞으로 나가야 한다. 실패가 쌓여 그 실패를 딛고 일어서서 앞으로 전진하고, 더 높은 곳으로 올라서야 한다(의열단장 정채산(김원봉))”,  2016. 9. 18, https://www.facebook.com/kkiim525/posts/10208816336700104

심리학에서는 학습된 실패내성이론(learned failure tolerance)이라고 하지요. 계속해서 실패를 경험하면 내성이 쌓여서 의례 실패할 것이라고 좌절하며, 절대로 저항하지 못하게 되는 것이지요. 이것이 일데 강점기, 이승만, 박정희 독재, 그 이후 권위주의 정부 시기에 우리나라 국민들에 학습된 것이지요.

이것을 극복하기 위한 일본식 처세술이 비로 싸움닭 키우기, 황태자 키우기입니다. 삼성가 이건희 회장이 이재용 부회장을 키운 방식으로 유명하기도 합니다. 즉, 살면서 실패를 경험하면 실패내성이 학습되므로, 노련한 노계 싸움닭을 데려와 키우는 싸움닭 후계자와 싸우게 하면서, 노계가 이길 것 처럼 보이면 개입해서 지게 만드는 것을 반복해서, 후계자가 싸우는 방법만 익히고 실패는 하지 않도록 하는 것입니다. 그런데 싸움닭 키우기 이로느이 단점은 바로 일본의 실패, 삼성 이재용의 실패사례에서 보듯 진정한 실력자와의 싸움판에 나가서 실제로 한 번 지면 극복할 수 없는 상처를 입게 된다는 것입니다.

반면 심리학에선 실패내성이 아니라 건설적인 실패내성(constructive failure tolerance)은 어떻게 해서 만들어지는지 알지 못하고 있습니다. 다만 건설적인 실패내성이란 특정 유형의 사람이 가진 특징으로 실패를 하면 오기를 내서 더 덤벼들고, 더 열심히, 끊임없이 덤비는 사람도 있다는 것이지요. 이런 사람 유형은 경험을 많이 할수록, 실패를 경험할수록 오히려 약이 되지요. 다만, 실패경험을 가진 사람이므로 대기만성형의 인물일 수밖에 없고, 이들은 패자부활전이 없는 사회일수록 절대적인 다수의 사회경험 즉 실패 자체를 많이 경험할 수 없으므로 진가를 발휘할 수 없을 수 있다는 것입니다.

우리나라는 건설적인 실패내성을 가진 이들에게 다양한 경험을 주는 조직, 그룹, 회사가 드물기 때문에 영원히 진가를 발휘하지 못하고 사라질 경우도 많다고 봐야겠지요. 이건 교육으로 키워질 수 없는 인재인데, 패자부활전이 없고, 학벌, 지연, 인맥 등으로 진입장벽이 쳐져 있는 권위주의 사회의 특징상 고시제도와 같이 제한 경쟁 후 신분보장과 고사 이외 인재양성, 인재진입 기회가 없는 비경쟁사회의 특권보장의 장막 속에서 설 자리가 없는 것이지요. 이것이 권위주의적 인물 중심으로 운영되는 비합리주의의 극치인 동북아 4개국의 공통적인 문제이지요.

물론 인지행동심리학이나, 인지행동교육학에서는 1:1 교습을 통해서 항상 아이의 약점과 강점을 파악하고, 그 아이의 실력보다 조금 더 어려운 문제를 제시하여 도전시킴으로써 가급적 좌절을 가져오는 실패내성이 학습되지 않도록 하면서, 실패하더라도 오기를 내서 재도전을 할 수 있도록 무조건적 지지를 보내고, 케어하는 주변의 가족들의 지원, 칭찬 등등으로 건설적 실패내성이 쌓이도록 한다는 교육목표를 만들어내기도 했지요.

창업지원에 있어서도 결국 싸움닭 키우기 식의 재벌3-4세 육성 프로젝트에 온갖 국회입법지원과 언론지원이 타당한 것인지, 끊임없는 패자부활전과 단계별 지원, 내수시장 육성을 통한 시장에서의 공정하고 자유로운 경쟁의 지원을 받게하는 것이 옳은지 실험이 필요해 보입니다.

이 글은 카테고리: 사로 칼럼에 포함되어 있으며 태그: , , , , , (이)가 사용되었습니다. 고유주소를 북마크하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