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터넷 법률검색을 통한 독도 영유권 연구

 – 디지털 법률 데이터베이스 검색으로 발견한 일본 현행법령과 판례를 중심으로 –

A study of Dokdo territory through Internet legal search

최재원


디지털재산법학회 2008.12. 발행 제7권(통권11호)
한국 애플 앱스토어 앱 e논문앱 구독하기 / 미국 애플 앱스토어 앱 e논문앱 구독하기

[서문]

최근 언론을 통해서 공개된 "한국 해양수산개발원 독도·해양영토연구센터" 유미림 박사(책임
연구원)의 연구결과에 의하면 일본의 1951년 대장성령 4호 구령에 의하는 공제조합 등으로부터의
연금 수급자를 위한 특별조치법 제4 조제3항의 규정으로 부속 섬을 정하는 성령, 1951년 총리부령 
24호 조선 총독부 교통국 공제조합의 본방(本邦)내에 있는 재산의 정리에 관한 정령의 시행에
관한 총리부령에 독도를 일본의 영토에서 제외하고 있다고 한다.

다만, 현재 일본의 시마네대 명예교수인 나이토 세이추(內藤正中) 박사는 조선일보와의 인터뷰를
통해서 이 법령이 미군정의 영향력을 받은 것일 뿐이란 반박을 하고 있다. 그 이유는 미군정이 
일본을 통치하던 1951년경에 공포되었기 때문이라고 주장한다.

또한 외교부 역시 이런 일본 교수의 의견에 따라서 연합국 최고사령관 명령(SCAPIN) 제677호
(1946년 공포적용)의 연장선상에 있는 것으로 추정된다고 하고 있습니다. 왜냐하면 본건 명령
(SCAPIN) 제677호를 통해 독도를 잠정적으로 일본영토에서 제외한다고 하고 있기 때문이다.

마지막으로 최근 언론에 의해 보도된 바에 의하면 일본 외무성에서는 “문제의 법령은 미국의 
일본 점령 당시 일본 정부의 행정권이 미치는 범위가 표시된 것일 뿐 일본의 영토 범위를 나타
내는 것이 아니다.” 라고 반박하고 있다. 

필자는 일본 법령 데이터베이스인 웨스트로 재팬, D1-Law닷컴과 한국법제연구원 일본법령번역 
서비스(http://www.klri.re.kr/)를 활용해서 추가 조사를 해 보았다. 아래에서는 관련 법령의 
원문과 번역문을 살펴보고, 개정 경과와 현행 법령으로서 기능을 하고 있는 관련법의 현황을 
비교해서 일본 교수의 주장이 잘못된 것임을 밝히고자 한다.



[요약문]

1951년 공포된 두 개의 일본 법령은 각각 미군정이 폐지된 1952년 이후인 1960년, 1968년에 개정
과정을 거치면서 중국과의 영토 분쟁 및 배타적 경제수역(EEZ)에 관한 분쟁을 겪고 있는 북위 30
도 이남의 남서군도 및 충어조도, 남조도를 삭제하여 일본 영토로 하였지만, 러시아(1951년 당시 
구소련)와의 영토분쟁지역인 치시마열도(千島列島 등)와 한국의 영토인 독도(울릉도, 제주도 포
함)는 그대로 유지하여 일본의 영토가 아닌 것으로 규정한 내용이 현행 법령으로 남아 있다는 것
이다. 특히 2007년 법률 제58호로 개정된 1950년 법률 제256호 구령에 의하는 공제조합 등으로부
터의 연금 수급자를 위한 특별조치법(2007년 5월 25일 개정, 같은 해 10월 1일 시행) 및 1999년 
법률 제160호로 개정된 1949년 정령 제291호 구일본점령지역에 본점을 갖는 회사의 본방내에 있
는 재산의 정리에 관한 정령(1999년 12월 22일 개정, 2001년 1월 6일 시행)에서도 하위법령에 위
임하여, 간접적으로 독도가 일본영토가 아님을 인정하고 있다. 

물론 일본 정부는 1951년에 공포된 '총리부령 24호'와 '대장성령 4호'와 그를 개정하는 법령인 
1960년 시행된 '대장성령 43호'와 1968년 시행된 '대장성령 37호'에서 사용된 '본방(일본 혹은 
우리나라)'이란 용어를 사용해서 '독도는 본방(일본 영토)에 속하는 부속도서가 아니다'라고 
규정한 것에 대해 지난 1월 7일 자 요미우리 신문 보도를 통해서, 관련 규정은 영토가 아닌 
행정권이 미치는 범위를 나타낸 것일 뿐이라는 반박을 했다.

그러나 필자가 일본 판례정보 검색시스템인 D1 Law.com를 활용해서 검색해 본 결과 독도, 본방, 
일본 영토란 단어가 들어간 일본 고등법원 판결 1건을 비롯해 수십 건의 판례에서 '본방'은 
'일본 영토의 전역'을 의미한다는 직, 간접적인 해석을 발견할 수 있었다. 대표적인 것이 
수출입 면허 없이 외국에서 비철금속을 수입한 사람에게 자금을 지원해 준 일본인 피고인에게 
관세법 위반으로 유죄를 선고한 1952년 10월 6일 고송(高松; 타카마쓰) 고등재판소 판결 1951년 
1147호 관세법위반피고 사건이다. 이외에도 최근에는 외국과의 거래에 있어서 소비세와 관련
해서 2008년 10월 30일 명고옥(名古屋) 지방재판소 판결 2006년 17호, 2007년 59호, 2008년 
34호 판결 역시 "본방"이란 용어를 "일본영토"를 의미하는 것으로 해석하고 있다.

주제어: 독도, 영토, 본방, 샌프란시스코 강화조약, 법률정보검색, 비교법,


[Abstract]
A study of Dokdo territory through Internet legal search

Jae-Weon Choi*

  With effective laws and rule, the government of Japan definitely has declared that 
Dokdo, so-called Dakesima in Japanese, is not in the territory of Japan. For example, 
Article 3 of the Ministry of Finance (hereinafter as "MOF") ordinance no. 4 in 1951 
and Article 2 of the MOF ordinance no. 4 in 1951 amended by the MOF ordinance no. 37 
in 1968 which was enacted after US army regime in Japan clearly has excluded Dokdo 
from Japanese territory or Japanese country. Actually, this MOF ordinance no. 4  
in 1951 committed by Article 4.3 of the special law for pension beneficiary under old 
ordinance (law no. 256 of 1950 amended by law no. 58 in 2007) is to limit the boundary 
of annex islands of Japan territory, not only to supplement administrative law on 
pension issue.

  Next, with respect to the limitation of the Japanese territory in island, Articles 
2.1.2 in the cabinet ordinance no. 291 of 1949 and one of the cabinet ordinance no. 291 
in 1949 amended by the law no. 160 of 1999 which was in effective after US army regime 
in Japan has applied in Article 14.1 of the cabinet ordinance No. 40 in 1951 and one of 
the cabinet ordinance no. 40 in 1951 amended by the law no. 116 in 1952. The cabinet 
ordinance no 291 in 1949 and its amendment of 1999 had a purpose to clear the assets 
in the Japanese territory of companies whose headquarters located in the area occupied 
by old Japan. Moreover, the cabinet ordinance no. 40 in 1951 and its amendments in 1952 
had dealt with the clearance of the assets of the mutual aid association in the 
department of transportation in Korea.
 
  In addition to the MOF ordinance no. 4, Article 2.1.3 of the Prime Minister 
(hereinafter as "PM") ordinance no. 24 and one of the PM ordinance no. 24 amended by 
the MOF ordinance no. 43 in 1960 which was enacted after US army regime in Japan 
definitely has declared that Dokdo is not in Japanese territory or Japanese country. 
In fact, this PM ordinance no. 24 in 1951 committed by Article 14.1 of the cabinet 
ordinance to clear the assets of the mutual aid association in the department of 
transportation of the government-general in Chosun (the cabinet ordinance no. 40 
in 1951 and its amendment in 1952) is to declare that Dokdo is not in the boundary 
of annex islands of Japan territory, not only to clear the assets of the mutual aid 
association in the department of transportation of the government-general in Korea.

  Japan unofficially argued against legislatures which clearly excluded Dokdo from 
its territory. First, it alleged that these laws and ordinances in force was just old 
law which is not in force, and said laws and ordinances is to limit the boundary of 
administrative power, but not to define the territory. However, Japanese allegation 
is not reasonable. It is because said laws and ordinances are in force now, and 
Japanese allegation has not complied with the MOF ordinance no. 4 in 1951 amended 
by the MOF ordinance no. 37 in 1968 and the PM ordinance no. 24 in 1951 amended by 
the MOF ordinance no. 43 in 1960. Moreover, said laws and ordinances surely defines 
the boundary of territory, but not the boundary which the administrative power 
reaches since with respect to Article 2.1.2 and 2.1.3 of the cabinet ordinance no. 291 
in 1949 amended by the law no. 160 in 1999 distinguishes the provisions on territory 
('this country') not from the area which the administrative power reaches, but from 
the area occupied by old Japan. It is also because the MOF ordinance no. 4 in 1951 
amended by the MOF ordinance no. 37 in 1968 had included Ogasawara shoto and Nansei 
shoto which has been disputed area with China as its territory which the US gave the 
sovereignty to Japan, and they, existing laws and ordinances, had still excluded Dokdo, 
Ulreungdo, Jejudo and Chisima-islands including other northern islands from its 
territory which has been disputed area with Russia. Besides, it is because the latest 
legal dictionary published by Yuhikaku company in Japan also defines said 'Bonbahng' 
('this country') as territory.   

  In conclusion, the MOF ordinance no. 4 in 1951 and the PM ordinance no. 24 in 1951 
which was discovered by Dr. You Mi-Rim and Attorney Choi Bohng-Tae are definitely 
existing laws and ordinances proven and searched by this writer, and Japanese 
government in 1950's and 1960's had no recognition on Dokdo as territory because of 
said laws and ordinances. Furthermore, the provisions of the MOF ordinance no. 4 
in 1951 amended by the MOF ordinance no. 37 in 1968 and the PM ordinances no. 24 
in 1951 amended by the MOF ordinance no. 43 in 1960 are the evident proof on which 
Japanese government cannot enjoy the sovereignty on Dokdo, so-called Dakesima in 
Japanese. It is because the opinions of scholars with the latest legal dictionary, 
the argument of Japanese lawyers and legal society, including the prosecutors and 
judges with legal cases, and the declaration of Japanese administration with said 
laws and ordinances are to prove that Dokdo is under Korean sovereignty.

Keywords: Dokdo, territory, this country, San Francisco Peace Treaty, legal search, comparative law

PDF 논문 원문 보기, iOS앱 다운로드 링크
이 글은 카테고리: 법률논문에 포함되어 있으며 태그: , , , , (이)가 사용되었습니다. 고유주소를 북마크하세요.